고음악 앙상블 누리 콜렉티브 대표로 활동하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이한솔은 13세에 처음으로 원주시립교향악단과 협연한 이후 Michael Vogler의 지도 아래 독일 베를린 예술 대학교(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에 17세에 입학하였다. 디플롬 과정에서 Latica Honda-Rosenberg과 Irene Wilhelmi에게 사사하였으며, 2015년부터는 동대학원 바로크 바이올린 과정(Irmgard Huntgeburth 사사)에 진학하여 솔리스트 마스터(MA Instrumental Soloist)를 최고점으로 졸업하였다. 클래식 바이올린을 전공하던 그녀는 오페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여러 오케스트라와 극장에서 바로크부터 현대까지 여러 작곡가의 작품을 연주하였다.
2015년부터 바로크바이올리니스트로서 다양한 연주스타일을 경험하고자 프로젝트 및 마스터클래스에 참여하였는데, Christoph Huntgeburth, Irmgard Huntgeburth, Enrico Onofri, Marc Hantai, Mafredo Kraemer, Emilio Moreno, Pedro Memelsdorff와 같은 연주자들과 함께한 프로젝트를 통해 많은 음악적 영감을 얻을 수 있었다.
2017년 Centre culturel de rencontre d'Ambronay 주최 Paul Agnew의 지휘로 유럽 고음악 축제 투어에 참여하였으며, 2017년과 2019년에는 Crescendo Festival에서 솔리스트로 협연, 2021년과 2022년에는 춘천국제고음악제에 참여하였다. 또한 2016년에는 앙상블 다미코의 일원으로 일본 야마나시 국제 고음악 콩쿨에서 심사위원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5월에는 오스트리아 멜크 수도원에서 열린 하인리히 슈멜처 국제 콩쿨에서 한국인 최초이자 바로크 바이올린 부문 최초의 우승자가 되는 쾌거를 이뤘다.
바이올리니스트이자 기획자로서 그녀는 젊은 현대음악 작곡가와의 협업을 통해 바로크와 현대의 시간적 경계를 허문다는 의미의 'Zeitlos'라는 프로젝트를 주독일한국문화원과 베를린의 아티스트홈즈에서 초연 및 기획을 진행하였고, 스페인 문화체육부 주최 박물관 순회공연 시리즈에 초청되어 스페인의 국립박물관과 미술관에서 그리스 신화를 주제로 두 차례 공연을 기획하였다. 이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약 3년간 국내에 머물며 예술의 전당 여름음악축제(2022), Festival in Germany(2021) 등 여러 공연과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하여 누리 콜렉티브의 기획공연인 Telemannia(2021), Concert Spirituel(2020)의 공연을 선보이기도 하였다.
현재는 바로크 바이올리니스트로서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현대음악과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인 프로젝트와 다양한 공연을 기획하며 유럽과 한국을 오가며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전 세대가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공연을 목표로, 연주자이자 기획자로서 새로운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Han Sol Lee Eo, geboren in Busan, Korea, ist als Violinistin und Kulturproduzentin sowohl in Europa als auch in Korea aktiv.
Ihr Musikstudium begann sie im Alter von 17 Jahren in Deutschland und schloss ihr Diplom an der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bei Prof. Latica Honda-Rosenberg und Irene Wilhelmi ab. Im Anschluss widmete sie sich dem Studium der Barockvioline bei Prof. Irmgard Huntgeburth und erwarb ihren Master als Instrumentalsolistin mit Auszeichnung. Neben ihrer solistischen Tätigkeit wirkte sie in zahlreichen Opernproduktionen und Orchestern mit. Ihr musikalisches Repertoire erstreckt sich von der Barockmusik bis hin zur zeitgenössischen Musik.
Die Beschäftigung mit der Barockvioline eröffnete ihr neue musikalische Horizonte. Seit 2015 vertieft sie ihre Kenntnisse durch Meisterkurse und Projekte mit renommierten Musikern wie Florence Malgoire, Christoph Huntgeburth, Enrico Onofri, Pedro Memelsdorff, Manfredo Kraemer und Sigiswald Kuijken.
Im Jahr 2016 wurde sie mit dem Ensemble d’Amico mit dem Jurypreis beim Internationalen Wettbewerb für Alte Musik in Yamanashi, Japan, ausgezeichnet. Im Mai 2024 gewann sie den Schmelzer-Preis beim Heinrich-Schmelzer-Wettbewerb im Stift Melk, Österreich.
Derzeit ist sie als Barockgeigerin tätig, erkundet begeistert verschiedene Repertoires und organisiert Konzerte und Projekte zwischen Europa und Korea.